파이썬을 사용하다 보면 오히려 기본적인 부분을 잊어버리거나 간과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 것 같다.
앞으로 코딩을 하면서 기본 문법을 잊지 않게 몇 가지 특징만을 기록해 놓으려고 한다.
1. 코드 입력 줄
보통 파이썬에서는 한 줄을 하나의 command 로 인식을 한다.
이 때 한 줄에 여러 command 를 넣고 싶다면 ' ; ' (semicolon) 으로 구분해주면 된다.
입력: print('Hi'); print('nice to meet you')
출력: Hi nice to meet you
반대로 한 command를 여러 줄에 걸쳐서 입력하고 싶다면 '₩' (또는 '\' )를 줄의 끝에 써주면 된다.
예를 들어,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10, 20, 30을 모두 더한 60이 아웃풋으로 나온다.
10 + 20 \
+ 30
2. 변수 종류
변수의 종류는 크게 string(글자), integer(정수), float(소수), boolean(참/거짓) 이며 이를 확인하고 싶을 때는
type(변수명)
을 해보면 된다.
다음으로 데이터 타입에 따른 특징을 간단히 정리해보도록 하겠다.
3. List 리스트
리스트 입력은 다음과 같이 한다. string 과 float 타입을 섞어 넣을 수 있다.
numbers = [1, '20', 30]
리스트의 길이, 즉 원소의 개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len 을 활용하면 된다.
len(변수명)
리스트가 아닌 것을 리스트 형식으로 바꾸고자 할 때는 list() 를 쓰면 된다. 예를 들어, range(10) 을 리스트 형식으로 바꾸고자 할 때는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.
list(range(10))
리스트의 원소를 추출할 때는 첫번째 원소가 '0'번째이다. 예를 들어,
colors = ['r', 'g', 'b', 't']
colors[0]
출력: ['r']
리스트의 원소 일부를 추출할 때 범위 설정에 주의해야 한다.
변수명[a : b] 를 추출한다고 했을 때, 실제로 추출되는 범위는 a번째부터 b-1 번째까지이다.
colors[0:1] #['red']
colors[1:2] #['green']
colors[:2] #['red', 'green']
나아가 범위 설정할 때 앞에 ' - ' (hyphon), 즉 마이너스 기호를 붙이면 해당 숫자를 전체 길이에서 빼주면 된다.
colors[-2:] # =[4-2:] =[2:] =['white', 'yellow']
colors[1:-2] # =[1:4-2] =[1:2] =['green']
List 안에 list 도 넣어줄 수 있다. 이 때, 리스트 안의 리스트는 [ ] 로 index 해주고 리스트 안의 리스트 안의 원소는 [ ][ ] 로 index 해준다.
list = [[1, 2, 3], [4, 5, 6]]
list[1] #[4,5,6]
list[1][2] #[6]
list 안에 원소를 추가하고 싶을 때는
변수명.append('추가하고 싶은 워소')
list 안에 원소를 빼고 싶을 때는
변수명.remove('빼고 싶은 원소')
를 사용하면 된다.
List 는 Tuple 과 잘 구분해야 하는데, 특히 Tuple 은 기존의 원소를 대체할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다.
#List
abc = ['a', 'b']
abc[1] = 'z'
print(abc) #['a', 'z']
#Tuple
abc_T = ('a', 'b')
abc_T[1] = 'z' ### Error 발생!!!
## Dictionary ##
cars = {'name':'kia', 'model':2019, 'color':'white'}
cars['name'] #kia
cars.keys() #dict_keys(['name', 'model', 'color'])
cars.values() #dict_values(['kia', 2019, 'white'])
cars.items() #dict_items([('name', 'kia'), ('model', 2019), ('color', 'white')])
'파이썬 (Python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Numpy vs. Pandas (0) | 2022.11.03 |
|---|---|
| 차원 바꾸기 (0) | 2022.11.03 |
| 함수 정의 def, lambda (0) | 2022.09.15 |
| 조건문, 반복문 모음 (0) | 2022.09.15 |
| 클래스 (Class) 란? (0) | 2022.08.15 |